
돈 되는 지식 2편: 금리가 오르면 대출이 왜 무서울까?
뉴스에서 금리가 올랐다는 말이 나오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대출이자'입니다.
그런데 정확히 어떤 구조로 내 돈이 줄어드는 걸까요?
‘금리’라는 개념만 제대로 이해해도 대출, 예금, 투자 등 거의 모든 금융의 흐름이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어려운 공식 없이, ‘금리’와 ‘대출이자’의 관계를 일상적인 예시로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1. 금리란 무엇인가요?
금리(Interest Rate)는
돈을 빌리거나 맡길 때 붙는 이자율
입니다.
돈을 빌리는 입장에서는 이자를 내야 하고,
돈을 맡기는 입장에서는 이자를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은행에서 1,000만 원을 빌릴 때 연 5% 금리라면,
1년 뒤에는 이자 50만 원을 추가로 갚아야 합니다.
2. 금리가 오르면 내 대출은 어떻게 되나요?
대출 중에서도 ‘변동금리’로 되어 있는 상품은
기준금리에 따라 이자율이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예를 들어,
- 1억 원을 변동금리로 대출받았고
- 금리가 3%에서 5%로 올랐다면,
연간 이자는 300만 원 → 500만 원으로 급증하게 됩니다.
같은 금액을 빌렸는데도, 매달 나가는 돈이 훨씬 커지는 거죠.
3.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 고정금리: 계약 시 정한 금리가 만기까지 유지됨 → 예측 가능
- 변동금리: 일정 기간마다 시장 금리에 따라 조정 → 예측 어려움
금리 상승기가 시작될 땐 고정금리가 유리할 수 있고,
금리 하락기엔 변동금리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4. 왜 금리는 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하나요?
- 물가 상승을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린다: 대출이 줄고 소비가 줄어듦
- 경기를 살리기 위해 금리를 내린다: 대출이 쉬워지고 소비가 늘어남
결국 금리는 경제 전체를 조절하는 스위치 같은 역할을 합니다.
5. 금리 인상기에는 무엇을 조심해야 하나요?
- 무리한 대출 지양: 변동금리로 큰 금액을 빌릴 경우 이자 부담이 급증
- 고정금리 전환 고려: 향후 금리 상승이 예상되면 안정성 확보
- 대출 상환 계획 점검: 월 상환액, 총이자 부담 시뮬레이션 해보기
Q&A
Q1. 금리가 1% 오른다고 해서 큰 차이가 나나요?
A. 대출액이 클수록 1% 차이가 수십만~수백만 원의 이자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Q2. 고정금리로 대출받는 게 항상 안전한가요?
A. 꼭 그렇진 않아요. 금리가 내려가면 고정금리는 손해를 볼 수 있어요. 상황에 따라 판단해야 해요.
Q3. 대출이 있다면 경제뉴스를 꼭 봐야 하나요?
A. 네. 기준금리 발표나 금리 인상 전망은 내 대출이자에 직접 영향을 줍니다.
정리
- 금리: 돈을 빌리거나 맡길 때 붙는 이자율
- 금리가 오르면: 대출이자 ↑, 소비 ↓, 경기 둔화
- 대비책: 무리한 대출 피하기, 고정금리 여부 점검, 상환 계획 세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