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편]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혜택 비교
청년도약계좌는 정부 지원과 은행 자체 금리가 결합되어 목돈 마련에 큰 도움을 주는 상품입니다. 그러나 은행마다 금리와 우대 조건, 부가 혜택이 달라서 꼼꼼한 비교가 필요합니다. 2025년 기준 주요 시중은행의 금리와 혜택을 아래에서 정리했습니다.
1. 은행별 기본 금리·우대금리 비교
은행명 | 기본 금리(연) | 우대 금리(연) | 총 적용 가능 금리 | 우대 조건 |
---|---|---|---|---|
KB국민은행 | 3.50% | 최대 1.50% | 최대 5.00% | 급여이체, 카드 사용, 자동이체 3건 이상 |
신한은행 | 3.40% | 최대 1.60% | 최대 5.00% | 급여이체, 앱 출석체크, ESG 실천 서약 |
우리은행 | 3.60% | 최대 1.40% | 최대 5.00% | 급여이체, 공과금 자동납부, 마케팅 동의 |
하나은행 | 3.55% | 최대 1.45% | 최대 5.00% | 급여이체, 앱 이벤트 참여, 외환거래 실적 |
NH농협은행 | 3.50% | 최대 1.50% | 최대 5.00% | 급여이체, 체크카드 사용, 공과금 자동이체 |
※ 금리는 2025년 8월 기준, 변동 가능성이 있으며 은행별 심사 및 조건 충족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은행별 부가 혜택
- KB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전용 이벤트, 문화상품권 지급, 앱 이용 포인트 적립
- 신한은행: 매년 ESG 참여 고객 대상 기부 연계 포인트 제공
- 우리은행: 마이데이터 서비스 가입 시 스타벅스 쿠폰 지급
- 하나은행: 해외여행자 보험 무료 가입 혜택
- NH농협은행: 농협몰 할인쿠폰, NH포인트 적립
3. 금리 선택 전략
청년도약계좌의 핵심은 기본 금리 + 우대금리입니다. 우대금리를 최대한 받으려면, 해당 은행의 급여이체 설정, 자동이체, 카드 사용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단순 금리뿐 아니라 부가 혜택(포인트, 쿠폰, 보험 서비스 등)도 장기적으로 가치가 있으므로 자신의 생활 패턴과 잘 맞는 은행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가입 전 체크리스트
- 내가 주거래하는 은행인지 확인
- 우대금리 조건 충족 가능 여부
- 부가 혜택 활용 가능성
- 금리 변동 가능성 및 장기 유지 계획
결론적으로, 청년도약계좌는 금리 차이가 크지 않지만 우대 조건 충족 여부와 부가 혜택에서 차이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금리가 높다'는 이유만이 아니라, 나의 금융 생활 패턴에 가장 잘 맞는 은행을 선택하는 것이 5년 후 더 큰 자산을 만드는 지름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