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 후 꼭 챙겨야 할 서류: 고용보험 가입이력 내역서
퇴사 후 실업급여를 신청하거나 경력 증명을 준비할 때, 가장 먼저 챙겨야 하는 서류 중 하나가 바로 고용보험 가입이력 내역서입니다. 이 문서는 본인이 언제부터 언제까지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공식 자료로, 실업급여 수급 자격 심사, 재취업 서류 제출, 경력증명 등에 폭넓게 활용됩니다.
1. 고용보험 가입이력 내역서란?
고용보험 가입이력 내역서는 고용보험에 가입한 기간, 사업장명, 고용 형태, 피보험자격 취득·상실 일자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문서입니다.
주요 활용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실업급여 신청: 피보험 단위 기간 180일 충족 여부 확인
- 이직/재취업: 경력 증명용 제출
- 보험 가입 내역 확인: 이전 사업장의 누락·오류 여부 점검
2. 발급 방법
고용보험 가입이력 내역서는 온라인, 모바일, 방문 3가지 방법으로 발급 가능합니다.
① 온라인 조회 –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접속
- 회원 로그인 또는 공동인증서 로그인
- 메뉴: 민원 → 증명원 발급 →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내역서
- 발급 사유 선택 후 PDF 저장 또는 출력
② 정부24 이용
- 정부24 접속
- 검색창에 ‘고용보험 가입이력’ 입력
- 전자민원 신청 후 공인인증서 로그인
- PDF로 저장 가능
③ 방문 발급
- 가까운 근로복지공단 지사 또는 고용센터 방문
- 신분증 지참 후 즉시 발급
3. 조회 시 유의사항
- 정보 최신화 시차: 사업장에서 신고한 내역이 시스템에 반영되기까지 1~3일 소요될 수 있습니다.
- 누락 확인: 이전 사업장의 고용보험 가입 내역이 누락된 경우, 피보험자격 확인 청구를 해야 합니다.
- 실업급여 조건: 퇴사 전 18개월 동안 피보험 단위 기간 180일 이상 필요
4. 실업급여 신청과의 관계
실업급여를 신청할 때, 고용보험 가입이력 내역서는 필수 첨부 서류는 아니지만 고용센터 담당자가 자격 심사 시 참고하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특히, 이력에 공백이 있거나 180일 계산에 애매한 기간이 있다면 미리 내역서를 확인하고 보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5. 자주 묻는 질문 (FAQ)
- Q. 퇴사 전에 미리 발급받아야 하나요?
- A. 필수는 아니지만, 퇴사 후 사업장 정보 수정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미리 발급을 권장합니다.\
- Q. 모바일 발급도 가능한가요?
- A. 가능합니다. 고용보험 앱 또는 정부24 앱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Q. 발급 수수료가 있나요?
- A. 모든 발급 방법은 무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