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돈을 지키는 ETF 투자 수업 ⑨ : ETF는 어디서, 어떻게 사나요?

ETF에 대해 공부를 마쳤다면 이제는 실제로 사는 방법이 궁금해지죠.
생각보다 간단하고, 누구나 따라할 수 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ETF를 거래하는 방법
을 차근차근 안내해드릴게요.
1. ETF는 어디서 거래하나요?
ETF는 증권사 MTS(모바일 앱)이나 HTS(컴퓨터 거래 시스템)에서 일반 주식처럼 매매할 수 있습니다.
즉, 주식 거래가 가능한 증권계좌만 있으면 ETF도 똑같이 거래 가능해요.
2. ETF 구매 전 준비 사항
- 1단계: 증권사 계좌 개설 (카카오뱅크, 키움증권, NH투자 등)
- 2단계: CMA계좌 또는 투자전용 계좌 개설
- 3단계: 원하는 ETF 종목 검색
- 4단계: 매수 금액 입력 후 '매수' 버튼 클릭
대부분의 ETF는 1주 단위로 거래가 가능하며,
몇 천 원 ~ 몇 만 원 정도
로 소액 투자가 가능합니다.
3. 실생활 예시
L씨는 ETF를 처음 접하고 'TIGER 미국S&P500 ETF'를 사보기로 했습니다.
그는 키움증권 계좌를 만들고, 모바일 앱에서 종목명을 검색한 뒤 1주에 약 14,000원 정도로 첫 매수를 시작했죠.
→ 주식처럼 클릭 몇 번이면 끝나는 간단한 구조에 깜짝 놀랐고, 그 후 매달 일정 금액을 ETF에 투자하는 습관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Q&A)
Q1. ETF는 무조건 미국 주식 계좌가 있어야 하나요?
A. 아닙니다. 국내 상장된 해외 ETF도 있으니, 국내 계좌만으로도 해외 시장에 투자할 수 있어요.
Q2. ETF도 매수 타이밍을 봐야 하나요?
A. 장기 보유 목적이라면 타이밍보다는 꾸준한 분할 매수가 더 중요합니다.
Q3. ETF를 살 땐 수수료가 드나요?
A. 주식 거래 수수료와 유사하게 매매 수수료가 소액 발생하지만, 요즘은 수수료 무료 이벤트도 많아 부담은 크지 않습니다.
정리
- ETF는 주식처럼 증권사 앱에서 매매 가능
- 1주 단위 소액 투자로도 시작할 수 있음
- 목적은 장기 보유 → 타이밍보다 꾸준함이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