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돈을 지키는 ETF 투자 수업 ⑦ : ETF 투자 수익 구조 – 배당, 자본차익

ETF에 투자하면 도대체 어떤 방식으로 수익이 나는 걸까요?
주식처럼 가격이 오르면 수익? 아니면 배당금?
이번 편에서는 ETF 수익 구조의 두 가지 핵심, 배당 수익과 자본차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자본차익이란?
자본차익은 ETF를 싸게 사서 비싸게 팔아 생기는 차익이에요.
주식처럼 ETF도 가격이 실시간으로 변하므로 저가에 매수 → 고가에 매도하면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예시: 2020년에 1만 원에 산 ETF가 2025년에 1.5만 원이 되면,
- 자본차익 = 5,000원 (수익률 50%)
단, 실현 수익이 되려면 반드시 매도를 해야 합니다.
팔지 않고 보유 중이면 수익은 평가 수익으로만 존재하죠.
2. 배당 수익이란?
배당 수익은 ETF가 보유한 종목에서 나오는 배당금을 투자자에게 나눠주는 것입니다.
특히 배당주 중심 ETF나 월배당 ETF는 꾸준한 현금 흐름을 만들어줍니다.
- 예시: 연 5% 배당률의 ETF를 1,000만 원어치 보유 시
- → 연간 50만 원 배당 수익 발생 (세전 기준)
배당은 정기적으로 입금되며, 주로 분기 또는 월 단위로 지급됩니다.
ETF마다 배당주기, 지급 시기, 세금 처리 방식이 다르므로 꼭 배당 공시 정보를 확인하세요.
3. 수익 구조 요약 비교
| 구분 | 자본차익 | 배당 수익 |
|---|---|---|
| 수익 발생 시점 | ETF 매도 시 | ETF 보유 중 정기적으로 |
| 수익 종류 | 매매차익 | 현금 흐름 |
| 세금 | 해외 ETF: 양도소득세 22% | 국내 ETF: 배당소득세 15.4% |
4. 실생활 예시
H씨는 S&P500 ETF에 투자하면서 두 가지 수익을 동시에 얻고 있어요.
ETF 가격이 오르면서 자본차익이 발생했고, 분기마다 소소한 배당금도 들어왔습니다.
H씨는 “ETF는 월급처럼 배당도 받고, 주가도 오르니까 일석이조”라고 표현했어요.
5. 자주 묻는 질문 (Q&A)
Q1. 배당이 없는 ETF도 있나요?
A. 있습니다. 성장주 중심 ETF는 배당을 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요.
Q2. 배당을 재투자하면 더 좋은가요?
A. 장기적으로 보면 배당금 재투자 → 복리 효과가 크기 때문에 추천됩니다.
Q3. 세금은 어떻게 처리되나요?
A. 국내 ETF는 배당소득세(15.4%)가 자동 원천징수되며, 해외 ETF는 양도차익에 대해 신고 납부해야 해요.
정리
- ETF 수익 = 자본차익 + 배당 수익
- 자본차익은 매매로, 배당은 보유 중 발생
- 수익률뿐 아니라 세금과 수익 시점도 고려해야 함